대실료는 무료 2111

육계

둘째 단계는 건물 전체를 해체하여 건물의 주된 구성성분들 즉 모래,자갈,대리석,철근,유리,나무 등을 파악하고,이러한 구성성분들로 건물을 재구성함으로써 건물을 분석적으로 이해한다.이것이 육계의 완성과 같다.따라서 육계의 완성은 십팔계를 분석적으로 해체하여 그 구성성분을 파악함으로써 완성된다.이렇게 완성된 것이 지계 地界,수계 水界,화계 火界,풍계 風界,공계 空界,식계 識界의 육계 六界이다.

대실료는 무료 2021.08.18

촉을 발생시키는 삼사를 내입처,외입처,식으로 보지 않고 간혹 근,경,식으로 보고 혼용하는 경우가 있다.그러나 근,경,식으로 삼사를 보면 다음과 같은 모순이 생긴다.안근,색경,안식으로 새로운 장미꽃을 인식하는 안촉이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앞의 예를 적용하면,색경인 새로운 장미꽃에서 반사된 빛이 안근의 망막에 접촉하면 안식이 새로운 장미꽃을 비교하여 분별하여야 한다.즉 안식이 망막에서 작용한다는 의미이다.그렇게 하여야만 안근,색경,안식,삼사가 접촉할 수 있기 때문이다.그렇다면 안식이 새로운 장미꽃과 비교해야 할 과거의 장미꽃은 어디에 있는가? 과거의 색경인 과거의 장미꽃은 안근의 망막에도 없고,지금의 색경도 아니고,안식의 정의에 따르면 안식은 비교 분별하는 인식이지 저장 기억하는 인식이 아니므로 안식에도 없다..

대실료는 무료 2021.08.17

여기서 촉은 제1접촉,제2접촉,제3접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이 세 가지 접촉을 각각 수상사 受想思라고 부른다.이것은 촉에서 수상사가 함께 일어난다는 의미이다.제1접촉인 수 受는 새로운 장미꽃을 인식하는 안내입처의 반응이자 표현으로 육체적,감각적,정신적 느낌이다.제2접촉인 상 想은 색외입처가 새로운 장미꽃의 정보를 저장하면서 새로운 장미꽃의 이미지를 취하는 표상 表象작용 또는 취상 取象작용이다.제3접촉인 사 思는 새로운 장미꽃을 인식하는 안내입처에 새로운 동기를 부여하여 안내입처를 새롭게 움직이게 하는 사량 思量작용이다.

대실료는 무료 2021.08.17

육내입처와 육외입처 그리고 육식에서 구체적인 인식활동이 전개되는 것을 촉觸이라고 한다.여기서 촉은 'phassa'를 번역한 것으로 접촉,부딪힘의 의미이며,내입처와 외입처 그리고 식 이 세 가지(三事)가 접촉하는 것이다.십팔계의 첫 번째 조합인 안내입처,색외입처,안식,간단히 표현하여 안,색,안식,삼사가 접촉하는 것을 안촉眼觸이라고 한다.촉의 발생을 예를 들어 새로운 장미꽃의 인식으로 살펴보면,안내입처가 새로운 장미꽃을 인식하려는 의지를 가지고 안근을 작동한다.안근은 장미꽃에서 반사된 빛을 수정체를 통하여 망막에서 받는다.망막에서 수용된 빛은 장미꽃이라는 정보로 전환되어 색외입처로 그리고 안근의 정보는 안내입처로 전달되어 인식된다.이때 안식은 안내입처와 색외입처를 각각 접촉하게 된다.이것을 각각 편의상 제1..

대실료는 무료 2021.08.17

제3착각

육식으로 천차만별의 인식대상을 분별한다.이때 분별하고자 하는 인식대상을 외입처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 분별하며,그리고 분별 판단한 결정은 내입처에 전달된다.따라서 대상을 지금 어떻게 분별할 것인지는 과거에 저장된 정보에 의해 좌우되며,과거에 저장된 정보는 제1착각과 제2착각이 이미 전제되어 있다.이렇게 분별한 판단은 내입처에서 자기동일시되어 내입처의 또 다른 의지활동으로 작용한다.이러한 삼사의 연결고리는 순환되어 지속한다.그러나 인간은 대상을 분별할 때 분별하고자 하는 대상의 현재 특징으로 분별한다고 인식한다.그리고 이러한 인식을 자기동일시하여 나는 내 눈으로 직접 보았다고 혹은 나는 내 귀로 분명히 들었다고 주장한다.이렇게 분별한 인식에서 신념을 가지고 견해를 만들어 주장한다.그러나 이렇게 ..

대실료는 무료 2021.08.17

제2착각

육경과 육근에서의 의와 법을 살펴보자.앞에서 전오근을 그 기능이 서로 겹쳐지지 않는 독립된 다섯 가지 감각기관으로 보았는데 이렇게 상호 독립된 전오근만 있다면,인간의 몸은 마치 다섯 개의 서로 다른 몸을 가진 것처럼 될 것이다.서로 독립된 전오근을 하나로 통합하는 기능이 필요하다.인간의 의지적 인식기능인 의근이 이러한 기능을 담당한다.전오근으로 감지한 전오경을 취합하고 통합한 것이 의근이며,의근에 의하여 전오경이 취합되고 통합된 것이 법경이다.여기서 의근과 법경의 관계에 대하여 주목하고자 한다.의근은 인식영역이고 의근에 의하여 형성되어진 법경 또한 인간 내부의 인식영역에 있다.의근은 인식영역 속에 있는 법경을 자신의 인식대상으로 인식한다.그러나 인간은 일상적으로 법경이 인간 외부의 자연에 있다고 인식한다..

대실료는 무료 2021.08.17